관리 메뉴

AI 세상 ?

emcascript 2015+ - 첫 번째 시간 const, let 본문

Development/Vue.js

emcascript 2015+ - 첫 번째 시간 const, let

phpdoumi 2018. 8. 3. 09:35

emcascript 2015+ - 첫 번째 시간 const, let

ecmascript 2015(줄여서 es2015) 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두 가지의 키워드인 const와 let이 추가되었습니다. 그럼 기존에 있던 var와 이 두개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그리고 왜 이렇게 두 개의 키워드가 생겨 났을까요? 이 부분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onst, let 와 var 의 차이점

기존의 es2015에서 var는 아래와 같이 변수를 선언 하였습니다.


var a=10;

var b=10;

위와 같은 var를 이용하여 선언을 할 경우 아래와 같은 2가지의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


함수 스코프

hoisting

예제로 한번 살펴 봅시다.


function func() {

    console.log(tmp);   //undefined

    if (true) {

        var tmp = 123;

    }

    console.log(tmp); // 123

}


console.log(tmp)    // tmp는 함수 스코프이기 때문에 에러

위의 예시에서 var로 선언된 변수는 함수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변수 선언에 if문 내 블럭에 위치해 있지만 동일 함수 내 if문 블럭 밖에 있는 console.log에서 tmp를 출력할 경우 에러가 아닌 undefined나 123이라는 값으로 표현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 예제는 실행 시에 아래와 같이 변경이 되어서 실행이 됩니다.


function func() {

    var tmp;            //tmp가 hoisting 되어서 가장 위로 올라옴

    console.log(tmp);   //할당 되지 않았기 때문에 undefined

    if (true) {

        tmp = 123;      //123을 할당

    }

    console.log(tmp); // 123

}

위와 같이 함수 내에 var로 선언된 변수를 실행 시에 함수 가장 위로 올리는 것을 hoisting이라고 합니다. 이건 실제 표준에 있는 용어는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이렇게 자주 표현을 해서 굳어진 단어 입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다른 언어 (특히 자바나 C 계열의 언어들)를 공부하고 온 사람들에게 많은 혼란을 주게 되었습니다. 그러서인지 다른 이유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번 es2015+에서는 이러한 특징들을 배제하고 다른 언어들과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게 새로운 변수 선언 방법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 선언 방법이 const와 let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의 경우는


함수 scope –> block scope

hoisting 이 되지 않음 –> TDZ가 발생할 수 있음

이런 식으로 추가되었습니다. 아래 예제를 한번 보면


function func() {

    console.log(tmp);   //변수가 선언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에러

    if (true) {

        const tmp = 123;    //블럭 스코프로 선언

    }

    console.log(tmp); // temp가 선언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에러

}

const로 선언된 변수 tmp의 경우 if 블럭 내에서 선언이 되었기 떄문에 if 블럭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양 블럭 밖에 있는 console.log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for문을 이용해서 다른 예제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function func() {

    for (var i=0; i < 100; i++) {


    }


    console.log(i);         //100


    for (let j=0; j < 100; j++) {


    }


    console.log(j);         //선언이 되지 않아서 error

}


위의 for문의 경우 i는 var로 선언이 되었기 때문에 함수 스코프입니다. i의 경우 hoisting 되어서 함수 가장 위에서 선언을 하게 되고 그렇기 때문에 console.log(i) 출력시 100이 나오게 됩니다. 

두 번째 for의 경우는 let을 이용하여 선언이 되었습니다. 이 변수는 for 문의 블럭 스코프를 가지게 됩니다. 그래서 for 문 안에 있는 블럭에서만 j를 사용할 수 있고 블럭 밖에서 console.log 로 출력을 할 때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


let, const와 var의 차이점을 이젠 알게 되었나요? 그럼 let와 const의 차이점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et 과 const 차이점

let과 const의 경우는 차이점은 간단합니다. 바로 재할당 가능 여부입니다.


const의 경우는 재할당이 되지 않습니다.

let의 경우는 재할당이 가능합니다.

아래 예제를 보면


let a = 10;

const b = 10;


a = 20;     //재할당 가능

b = 20;     //재할당이 안되기 때문에 에러

const의 경우 재할당이 안되기 떄문에 당연히 초기값을 주지 않는 경우에 에러가 발생합니다.


let a;              //가능

const b;            //초기 값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에러

const의 경우 재할당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 을 통한 데이터 변경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 입니다. 하지만 object나 array의 경우는 레퍼런스 변수들이기 때문에 const통한 변수 선언 시 해당 값의 메모리 주소 값이 저장이 됩니다. 이말은 object에 속성을 추가하거나 array의 값을 하나 추가를 하더라도 해당 메모리 주소 값은 변경이 되지 않기 때문에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const a = [];


a.push(100);

a.push(200);


console.log(a);     //[100,200]


const b = {};


b.test = 100;


console.log(b);     //{test:100}

아래와 같이 메모리 주소 값을 재할당 할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합니다.


const a = [];


a = [100, 200];     //주소를 재할당 하기 때문에 에러


const b = {};


b = {test:100};     //주소를 재할당 하기 때문에 에러

const, let, var를 어떻게 사용하나요?

우선 es2015+에서는 var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를 권장합니다. var가 아직 남아 있는 이유는 기존 es5 이전 소스들과의 하위 호환성 때문입니다. 이제부터는 var는 사용하지 않도록 합시다.


그럼 const와 var 는 어떻게 사용할까요?


우선 const사용을 고려해 봅니다. const의 경우 재할당을 막아주기 때문에 프로그램 작성하다가 실수를 막아 줄 수 있습니다.

재할당이 꼭 필요한 경우 let을 사용합니다.

let을 선언하기 전에 꼭 이 표현식이 const를 사용해서 표현이 가능한지 확인해보고 될 수 있는 const를 사용해서 표현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것보다

let foo, bar;

if (a === b) {

  foo = a;

  bar = b;

} else {

  foo = b;

  bar = a;

}

//이렇게도 가능

const [foo, bar] = (a === b) ? [a, b] : [b, a];

The temporal dead zone

위에서 const와 let의 경우는 hoisting을 하지 않기 때문에 TDZ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럼 여기서 TDZ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et tmp = true;

if (true) { // enter new scope, TDZ starts

    // Uninitialized binding for `tmp` is created

    console.log(tmp); // ReferenceError


    let tmp; // TDZ ends, `tmp` is initialized with `undefined`

    console.log(tmp); // undefined


    tmp = 123;

    console.log(tmp); // 123

}

console.log(tmp); // true


여기서 첫 번째 console.log(tmp)의 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아까도 말했지만, let, const로 선언될 경우 기존 var와 다르게 hoisting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떄문에 아직 let, const를 이용해서 선언하지 않는 변수를 호출할 경우 위와 같이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런 에러 발생 구간은 TDZ라고 합니다.위 예제의 경우는 TDZ를 표현해보기 위해서 해본 것이고 보통은 저렇게 프로그램을 작성하지 않을 것 입니다. 내가 모르는 사이에 TDZ를 발생시키는 경우는 아래와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let foo = console.log(foo); // 할당 연산의 경우는 항상 오른 쪽부터 실행하기 떄문에 foo가 선언되지 않았기 떄문에 에러

이런 부분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좀만 신경을 쓰면 피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출처 :

http://exploringjs.com/es6/ch_variables.html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Statements/const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Statements/let

https://hyunseob.github.io/2016/11/21/misunderstanding-about-const/